[일요와이드] 미 핵잠수함 부산 입항 공개…"대북 경고"<br /><br /><br />미국이 핵잠수함의 부산 입항 사실을 공개하며 북한을 향해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다음달 한미연합훈련을 계기로 북한의 도발은 더욱 거세질 걸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'3월 위기설'이 고조되는 가운데 점점 거세지는 미·중 간 신경전도 고려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전문가와 한반도 정세 짚어보죠.<br /><br />최강 아산정책연구원장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미 전략자산으로 꼽히는 6천 톤급 핵추진잠수함 스프링필드가 부산에 입항했습니다. 입항 사실을 이례적으로 공개해 북한에 경고했는데요. 잇따른 미사일 도발로 맞대응에 나섰던 북한, 추가 도발 가능성을 어떻게 내다보세요?<br /><br /> 북한은 일단 '말 폭탄 퍼붓기'에 나섰습니다. 북한 선전매체들은 올해 한미가 이전보다 더 호전적인 전쟁 연습에 광분하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. 그러면서 한미가 한반도 정세 긴장의 원인이라며 책임을 전가하고 있어요?<br /><br /> 최근 북한이 전략순항미사일 4발을 쐈다고 발표했죠.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기만전술에 무게를 뒀는데요. 일각에서는 탐지에 실패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습니다. 대북 대비 태세에 구멍이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와요?<br /><br /> 일본도 안보 강화 태세에 들어갔습니다.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전략폭격기를 동원한 미일 연합훈련을 강화하겠다 밝힌 건데요. 한미일 3국 훈련과는 다른 별개의 훈련입니다. 의도를 어떻게 분석하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다음 달 한미 연습 땐 북미 간 강 대 강 대치가 더욱 심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. 미국은 핵전력의 한반도 전개 의지를 밝혔고, 북한은 이를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고 협박하면서 3월 위기설이 고조되고 있는데요. 미국의 핵전력이 북한에 위협억제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볼 수 있나요?<br /><br /> 중국은 "북한의 무력도발은 미국 탓"이라며 현 상황을 관망하면서도, 미국이 국제정세를 이용해 주변국의 군비경쟁을 강화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. 실제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본과 인도, 그리고 중국의 군비 지출이 늘었는데요. 자칫 안보딜레마에 빠져 위험을 자초할 우려는 없겠습니까?<br /><br /> 정부의 대미 외교는 연초부터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대중 외교는 지난해 말 왕이 부장의 방한 무산 후 사실상 실종된 모습입니다. 미-중 패권 경쟁 속에서 우리 정부가 미국 중심 외교를 계속하는 한 중국 관계에 불균형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요. 적절한 스탠스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